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종합소득세] 간편장부대상자의 추계신고 시 기준경비율 및 단순경비율 적용 대상자 판단기준

by storyvil 2025. 4. 30.
반응형

 

간편장부대상자의 추계신고 시 기준경비율 및 단순경비율 적용 기준

안녕하세요? 스토리빌입니다. 최근 종합소득세 신고를 앞두고 간편장부 대상자분들께서 추계신고 시 기준경비율과 단순경비율 적용 기준에 대한 관심이 많아졌습니다. 오늘은 이 두 가지 경비율 적용 기준과 대상자 구분에 대해 표와 함께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기준경비율 vs 단순경비율의 차이

기준경비율은 일정한 주요경비를 차감하고 나머지 비용을 추정하는 방식이며, 단순경비율은 전체 수입금액에서 일정 비율만큼을 비용으로 인정하는 간소화된 방식입니다.

2. 적용 대상자 판단 기준

구분 기준경비율 적용 단순경비율 적용
수입금액 기준 업종별 일정 금액 이상 업종별 일정 금액 미만
적용 대상 장부 미비, 증빙 부족자 신규사업자, 장부 미비자
제외 대상 전문직, 현금영수증 미가입자 등 전문직, 현금영수증 미가입자 등

3. 업종별 수입금액 적용 기준

업종 기준경비율 적용 기준 단순경비율 적용 기준
일반사업자 6,000만 원 이상 6,000만 원 미만 & 3억 원 미만
제조·건설업 3,600만 원 이상 3,600만 원 미만 & 1억 5천만 원 미만
부동산임대·전문서비스 2,400만 원 이상 2,400만 원 미만 & 7,500만 원 미만

4. 계산 방식과 주의사항

  • 기준경비율 계산법: 수입금액 – 주요경비 – (수입금액 × 기준경비율)
  • 한도식 적용: {수입금액 – (수입금액 × 단순경비율)} × 배율(2.8~3.4)
  • 단순경비율은 신규사업자에게 유리: 전년도 + 당해 연도 수입요건 충족 필요
  • 전문직 및 현금영수증 미발급 업종: 무조건 기준경비율 적용

5. 요약 및 실무 팁

단순경비율은 절차가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실제 비용보다 적은 금액만 비용으로 인정되므로 환급액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수입이 증가할 경우엔 장부를 작성하여 실지비용 신고가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6. 주석 및 참고자료

[1]  국세청 홈택스, ‘종합소득세 추계신고’ 항목

해시태그: #간편장부 #기준경비율 #단순경비율 #추계신고 #소득세신고 #세금절약 #국세청 #세무상식 #자영업자세금 #소득공제

반응형